맨위로가기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은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은퇴 후 거주하기 위해 295년경부터 건설하여 305년에 완공된 대규모 궁전이다.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하며, 로마식 빌라와 카스트룸 양식을 혼합한 건축 양식을 보인다. 궁전은 7세기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침입 이후 난민들의 피난처가 되었고, 이후 도시로 발전하여 오늘날 스플리트 시의 중심부를 이룬다. 1979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현대에는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촬영지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플리트의 관광지 - 디오클레티아누스 수도교
    디오클레티아누스 수도교는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자드로 강에서 13m의 고도 차이를 이용해 물을 운반했으나 고트족 침입으로 파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복원 후 폐쇄되었고 현재 재복원 중이며, 솔린 인근 두이모바차 지역에 가장 잘 보존된 구간이 위치해 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스플리트 역사 지구와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원어 이름Povijesna jezgra grada Splita s Dioklecijanovom palačom
원어 (언어)크로아티아어
로마자 표기Dioklecijanova palača
원어 이름 (라틴어)Palatium Diocletiani
원어 (언어) (라틴어)라틴어
위치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면적6km 내
페리스틸
페리스틸 (궁전 내부의 중앙 광장)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거처 입구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
건축 정보
건축 시기서기 4세기
관리 정보
등재 정보
문화유산 지정 종류WHS
문화유산 종류문화
문화유산 지정 기준ii, iii, iv
문화유산 지정 날짜1979년 (제3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문화유산 지정 번호97
문화유산 지정 지역유럽
크로아티아 문화재 지정 종류크로아티아 문화
크로아티아 문화재 지정 명칭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2. 역사

오늘날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건설은 사두정치 도입 이후인 295년경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퇴위 당시 궁전은 미완성 상태였으며, 황제 거주 중에도 일부 공사가 진행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1979년 유네스코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과 주변 스플리트 역사지구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다. 그러나 2006년 11월, 시의회는 궁전 내 20곳 이상의 신축 건물(상점 등) 건설을 허가하는 결의를 했다. 이는 지역 부동산업자들의 로비와 정치적 배경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스플리트는 라틴어로 스팔라툼(Spalatum)이라 불렸는데, 이는 라틴어 palatium(궁전)에서 유래했다는 속설이 있다.[32] 그러나 실제로는 인근 그리스인 거주지 아스팔라토스(Aspalathos)에서 유래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그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산사나무에 이른다.[33]

2. 1. 고대 로마 시대

디오클레티아누스305년 5월 1일 황제 자리에서 물러난 후 은퇴 생활을 보내기 위해 거대한 궁전을 건설하였다. 실제 건설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기 10년 전인 295년부터 시작되었다.[1] 이는 달마티아 황제령 주도 살로나에서 약 6.5km 떨어진, 달마티아 해안에서 뻗어나온 짧은 이스트리아 반도 남쪽 만에 위치해 있었다.

선정된 장소는 달마티아 주의 행정 중심지였던 살로나 근처, 짧은 반도의 남쪽이었다. 중세 양피지 사본인 『페우팅거 표』를 통해 알려진 로마 지도 자료에 따르면, 그곳 만에는 이미 스팔라툼이라는 정착지가 있었는데, 그 유적과 규모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궁전 건설에 어떤 건축가의 아이디어가 적용되었고, 누가 건설자인지는 알 수 없다. 이 건축물은 3세기 로마 요새를 본떠 만들어졌는데, 라인강 건너편 쾰른에서의 데우츠의 '''카스트룸 디비티아'''와 같은 교두보 요새가 있다.[2]

그러나 조티코스와 필로타스라는 새겨진 그리스 이름과 많은 그리스 문자들은 건설자 상당수가 제국의 동부 지역 출신이었음을, 즉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동방의 장인들을 데려왔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노동력의 상당 부분은 지역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본 자재는 인근에서 조달되었다. 흰색 석회암은 브라치 섬과 트로기르 근처 세겟에서 채석되었고, 응회암은 인근 하천에서 채취되었으며, 벽돌은 스팔라툼과 그 근처에 있는 다른 작업장에서 만들어졌다.

카르누툼에서 사람들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권력 장악과 막센티우스의 찬탈로 인해 발생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즉위를 요청했다.[3]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는 황제가 양배추를 재배하기 위해 궁전으로 은퇴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4년 더 살면서 궁전 정원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는 그의 네 황제 정치가 후계자들의 이기적인 야망으로 인해 붕괴되는 것을 목격했다. 그는 막시미아누스의 세 번째 즉위 시도, 강제 자살, 그리고 그의 악명에 대해 들었다. 그의 궁전에서 그의 전 동료 황제의 조각상과 초상화는 파괴되었다. 깊은 절망과 질병 속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살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312년 12월 3일 사망했다.[5]

2. 2. 중세 시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죽은 뒤에도 궁전은 로마 황실 소유로 남아, 황제 가족의 추방된 구성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 480년, 율리우스 네포스 황제는 살로나 근처 자신의 빌라에서 병사에게 살해당했다.[6]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이 그 지역에 있었기 때문에 같은 건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의 로마네스크 양식 종탑


7세기 판노니아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의 침입으로 살로나가 대부분 파괴되면서 궁전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파괴 연도는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논쟁 중이다. 추방된 주민들은 궁전의 견고한 성벽 안에서 피난처를 찾았고, 새로운 도시 생활이 시작되었다.[7] 이후 궁전은 계속 거주지로 사용되었으며, 주민들은 궁전 지하와 벽 안에 집과 사업체를 만들었다.[8] 성 마르틴 교회가 그러한 예시이다. 오늘날에도 많은 레스토랑과 상점, 주택이 성벽 안에 남아 있다.

12세기에서 14세기 사이 중세 공동체 시대에는 로마 건물뿐만 아니라 거리와 부두의 넓은 공간에 중세 가옥들이 들어서면서 큰 건축 발전이 있었다. 이 시기에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능으로 사용되었던 주피터 신전 터에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의 로마네스크 양식 종탑이 건설되었다.[9]

2. 3. 근대

중세가 끝날 무렵 서유럽에서는 이 궁전의 존재 자체가 사실상 잊혀졌다. 1764년 프랑스의 예술가이자 골동품 수집가 Charles-Louis Clérisseau영어를 비롯한 창안자들의 의향에 따라 궁전 조사를 진행했던 스코틀랜드 출신의 신고전파 양식 건축가 로버트 아담이 그 성과를 『달마티아 스플리트에 있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 유적』(Ruins of the Palace of the Emperor Diocletian at Spalatro in Dalmatia, London)으로 출판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아담에게 있어 이 궁전은 신고전주의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기 위한 자극이 되었다.[31] 그리고 측량도 출판은 유럽 건축 용어에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이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궁전은 현재 다른 중요한 역사적 건축물들과 함께 스플리트 시내 중심부에 있다. 세계 기념물 기금은 건물의 완전성에 대한 조사와 돌, 회반죽 등의 청소 및 보수를 포함한 보존 계획을 진행했으며, 2009년에 완료되었다.

3. 건축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은 빌라와 카스트룸 양식에서 유래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내부 배치에서도 나타난다. 동쪽 문과 서쪽 문을 연결하는 횡단 도로(데쿠마누스)는 궁전을 두 부분으로 나눈다. 남쪽 절반에는 황제의 궁전을 포함하여 공공 건물, 사유 건물, 종교 건물 등 더 호화로운 구조물들이 있었다. 북쪽 절반은 금문에서 주주식(Peristyle)으로 이어지는 주요 남북 도로(''카르도'')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며, 병사, 하인, 그리고 기타 시설들을 수용하는 주거 단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궁전의 두 부분 모두 직사각형 건물들(아마도 창고였을 것으로 추정됨)을 통해 외벽으로 이어지는 길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궁전은 현지에서 생산된 흰색 석회암과 고품질 대리석으로 지어졌다. 대부분의 대리석은 브라치 섬의 채석장에서 가져왔고, 응회암은 인근 강바닥에서 채취했으며, 벽돌은 살로나(Salona) 등지에서 생산되었다. 장식용으로 사용된 이집트화강암 기둥, 외장재용 고급 대리석, 프로코네소스(Proconnesos) 작업장에서 생산된 일부 주두 등은 수입되었다. 특히 궁전에는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3세의 무덤 또는 사원에서 가져온 3500년 된 화강암 스핑크스 여러 개가 장식되어 있었는데, 이 중 세 개가 현재까지 남아있다. 하나는 주주식(Peristyle)에, 다른 하나는 머리가 없는 상태로 유피테르 신전 앞에, 나머지 하나는 시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3. 1. 구조 및 특징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평면도는 동쪽 214.97m, 북쪽 174.74m, 남쪽 181.65m(지형을 고려하여 조정)의 불규칙한 직사각형이며, 본토를 향한 서쪽, 북쪽, 동쪽 외벽에는 16개의 탑이 돌출되어 있다.[16] 정사각형 모서리에는 네 개의 탑이 있어, 도나우 강 유역의 레기오 요새와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16]

여섯 개의 팔각형 지하층 탑 중 두 개는 세 개의 진입로가 있는 계단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직사각형 평면의 여섯 개의 직사각형 지하층은 모서리와 팔각형 사이에 있다. 현재까지는 남서쪽 모서리 탑을 제외한 세 개의 모서리 탑이 보존되어 있으며, 팔각형과 직사각형 탑의 잔해만 남아있다. 세 개의 잘 보존된 계단은 특히 살로나에서 주요 접근로였던 북쪽 계단이 건축적으로 파편화되었다. 남쪽의 해변 문은 작고 단순하며 잘 보존되어 있다. 궁전의 외벽은 하부가 대형이고 개구부가 없이 단순하며, 상부에는 육지 쪽, 즉 서쪽, 북쪽, 동쪽 외벽에 큰 아치가 있다. 궁전의 지하 부분은 둥근 아치 형태의 석조물을 특징으로 한다.

바다에서 바로 또는 매우 가까운 곳에서 시작되는 남쪽 외벽만이 요새화되지 않았다. 윗층의 아케이드 갤러리의 정교한 건축 구성은 다른 세 개의 해안 외벽의 더욱 단순한 처리 방식과 다르다. 각 벽의 중앙에 있는 거대한 문은 둘러싸인 안뜰로 이어졌다. 남쪽의 해문(Porta Meridionalis)은 다른 세 개의 문보다 모양과 크기가 더 단순했으며, 원래 황제의 개인적인 바다 접근로 또는 물자의 출입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북문(Porta septemtrionalis)은 궁전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주요 로마 문 중 하나이다. 원래 황제가 이 복합 건물로 들어오던 정문으로, 북쪽, 당시 로마의 달마티아 주(달마티아)의 수도이자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출생지인 살로나로 향하는 길에 위치해 있다. 아마도 황제가 305년 5월 1일 황제 자리에서 퇴위한 후 들어왔던 문일 것이다.[17] 오늘날 7세기의 성 마르티누스 교회가 이 문 위에 있으며 일반에게 공개되어 있다.

은색 문


동문(Porta Orientalis)[18]은 궁전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주요 로마 문 중 하나이다. 원래는 부차적인 문이었으며, 동쪽으로 로마 도시 에페티아(Epetia), 오늘날의 스토브레치(Stobreč)를 향하고 있다.[19] 6세기 무렵, 문 위의 감시병 통로에 성 아폴리나르(St Apolinar)[20]에게 봉헌된 작은 교회가 세워졌다. 이는 외부 지역 사회에서 온 난민들의 유입[20]과 일치하는데, 황금 문, 철 문, 청동 문 위에도 비슷한 교회들이 있었다. 성벽의 이 부분과 문 자체의 구조는 이후 수세기 동안 두시차 교회(Church of Dušica)와 같은 여러 건물에 통합되었는데, 이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18]

서문(Porta Occidentalis)[21]은 궁전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주요 로마 문 중 하나이다. 원래 군대가 복합 단지로 진입하는 군사 문이었던 이 문은 오늘날까지 계속 사용된 유일한 문이다. 테오도시우스 1세 치하 이교도 박해[21] 동안 로마 승리의 여신 니케(Nike)[21]의 부조 조각(문틀 위에 있었음)이 문에서 제거되었고, 5세기 후반에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그 자리에 십자가를 새겼다.[22] 6세기에는 문 위에 성 테오도라(St. Teodora)[23]에게 봉헌된 작은 교회가 세워졌다. 이는 주변 지역 공동체 출신 난민 유입[23]과 일치하는데, 비슷한 교회들이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황금 문, 은문, 청동 문 위에도 있었다.

남문(Porta Meridionalis)


남문(Porta Meridionalis)은 궁전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주요 로마 문 중 가장 작은 문이다. 원래 황제가 배를 타고 지하실을 통해 황궁으로 들어오던 해상 관문이었다.

디자인은 빌라와 카스트룸 양식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러한 이중성은 내부 배치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동문과 서문을 연결하는 횡단 도로(데쿠마누스)는 이 복합 건물을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E. Hébrard와 J. Zeiller가 1912년 파리에서 출판한 Spalato, le Palais de Dioclétien에서 재구성한 해안 쪽 정면


남쪽 절반에는 북쪽보다 더 호화로운 구조물들이 있었는데, 여기에는 공공 건물, 사유 건물, 종교 건물뿐만 아니라 황제의 궁전도 포함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은 바닷가를 따라 한 블록을 형성했으며, 외벽은 정사각형과 원형 평면으로 돔이 있었다. 거기에서 황제의 궁전으로 들어가는데, 이는 남쪽 외벽을 따라 40m 깊이로 뻗어 있었다. 상층부는 일부만 보존되었지만, 하층부의 지하 구조물은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어 상층부와 하층부의 평면도가 일치하기 때문에 상층 공간의 전체적인 배치와 모습을 알 수 있다. 상층 서쪽에는 돔 형식의 홀과 아치형 벽감이 있는 두 개의 홀이 남아 있고, 동쪽에는 팔각형 식당(triclinium)과 십자형 평면의 세 개의 홀의 일부가 남아 있다. 서쪽 십자형 홀의 벽은 전체 높이가 보존되어 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은 남쪽 외벽을 따라 긴 방(cryptoporticus)[24]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42개의 창문과 3개의 발코니를 통해 바다가 보였다. 황제의 궁전 북쪽에서는 최근 두 개의 목욕탕이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서쪽 홀에, 다른 하나는 동쪽 홀에 인접해 있다. 수세기 동안 쓰레기로 거의 완전히 채워져 있었지만, 대부분의 지하 구조물이 잘 보존되어 있어 위층 방의 원래 모양과 배치를 알 수 있다.

베스티불은 궁전의 황제용 통로의 첫 번째 구역이었던 원형 건물로, 페리스타일을 통해 궁전의 황제 숙소로 이어졌다.[25]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 지하실


지하실은 황궁이었던 곳 아래에 위치한 지하 구조물로,[26] 세계적으로 가장 잘 보존된 고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27]

웅장한 중정인 페리스타일(Peristyle)은 베스티불 앞 황궁으로 들어가는 북쪽 통로 역할을 했다. 또한 동쪽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능묘(현재 성 도미니우스 대성당)로, 서쪽에는 세 개의 신전(그중 두 개는 현재 소실되었고, 나머지 하나는 원래 유피테르 신전이었던 곳으로 세례당이 됨)으로 통하는 길이었습니다. 페리스타일 서쪽에는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이 있는데, 이 신전은 돌 블록으로 만들어진 반원통형 지붕을 가지고 있었으며, 1940년대 납 지붕으로 덮이기 전까지는 누수가 없었습니다. 최근에 이 신전은 복원되었습니다.

궁전의 북쪽 절반은 금문(Porta aurea)에서 페리스타일로 이어지는 주요 남북 도로 (''카르도'')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며,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각 부분은 병사, 하인, 그리고 아마도 다른 시설들을 수용하는 주거 단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궁전의 두 부분 모두 직사각형 건물들(아마도 창고였을 것으로 추정됨)을 통해 외벽으로 이어지는 길들로 둘러싸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궁전은 현지의 흰색 석회암이나 고품질의 대리석으로 지어졌다. 대리석의 대부분은 브라치 섬의 채석장에서, 응회암의 대부분은 인근 하상에서 가져왔고, 벽돌의 대부분은 살로나 제품이다. 이집트화강암 기둥이나 스핑크스와 같이, 장식에 사용된 재료에는 수입된 것도 있다. 또한, 호안이나 몇몇 주두에 사용된 고품질의 대리석은 프로코네소스(Proconnesos) 제품이다.

3. 2. 건축 자재

궁전은 고품질의 현지 석회암과 대리석으로 지어졌는데, 대부분은 브라치 섬의 대리석 채석장에서 가져온 것이다. 근처 강바닥에서 채취한 응회암과 살로나(Salona) 및 기타 공장에서 생산된 벽돌도 사용되었다. 장식용 자재의 일부는 수입되었다. 이집트화강암 기둥, 외장재용 고급 대리석, 프로코네소스(Proconnesos)의 작업장에서 생산된 일부 주두 등이 그것이다.
주랑의 스핑크스

3. 3. 이집트 스핑크스

이 궁전은 3500년 된 화강암 스핑크스 여러 개로 장식되었는데,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3세의 무덤 또는 사원에서 가져온 것이다. 세 개만이 세월을 견뎌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하나는 주주식(Peristyle)에 여전히 있으며, 두 번째 것은 머리가 없는 상태로 유피테르 신전 앞에 놓여 있고, 세 번째 것은 스플리트 시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4. 문화 유산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은 스플리트 시내 중심부에 있으며,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지역 문화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크로아티아 아드리아해 연안에서 가장 유명하고 잘 보존된 건축 및 문화 유산이며, 지중해, 유럽, 세계의 궁전 중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79년 유네스코는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과 주변 스플리트 역사지구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다.

4. 1. 논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거처로 가는 정문이 있는 페리스타일(궁전 중앙 광장)을 묘사한 1764년 로버트 애덤의 판화


1979년 11월, 유네스코(UNESCO)는 국제 문화 및 자연 유산 협약에 따라 궁전 주변에 건설된 스플리트의 역사 도시를 세계유산 목록에 포함하는 제안을 채택했다.[13]

2006년 11월, 시의회는 궁전이 세계유산으로 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개 이상의 신축 건물(쇼핑 및 주차장 복합 단지 포함)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정치적으로 동기가 부여되었고, 주로 지역 부동산 개발업자들의 로비 활동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2007년 대중이 이 프로젝트를 알게 되자 반대 청원을 제기하여 승소했고, 새로운 건물, 쇼핑센터 또는 지하 주차장은 건설되지 않았다.

세계기념물기금(World Monuments Fund)은 구조적 안전성 조사, 석재 및 회반죽 청소 및 복원을 포함한 궁전 보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궁전은 1993년에 발행된 크로아티아 500쿠나(Croatian kuna) 지폐 뒷면에 묘사되었다.[14][15]

5. 현대적 활용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은 HBO의 드라마 시리즈 《왕좌의 게임》의 제4시즌 촬영지로 사용되었다.[28] 또한 CBS의 리얼리티 쇼 《어메이징 레이스》 31번째 시즌에서 미션 장소로도 등장했다.[29][30]

6. 갤러리

능묘 돔 내부: 벽돌 둥근 천장 열쇠를 볼 수 있다.


베스티불은 궁전 지하실로 이어진다.

참조

[1] 서적 Emperors Don't Die in Bed
[2] 서적 The Late Roman Army
[3] 논문 Constantine and Eusebius
[4]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5] 논문 Constantine and Eusebius
[6] 논문 Julius Nepos
[7] 서적 Spalatensis Historia Salonitanorum atque Spalatinorum pontificum CEU Press
[8] 웹사이트 Diocletian's Palace http://www.croatiatr[...]
[9] 웹사이트 How life goes on in a ruined Roman palace https://www.apollo-m[...] 2016-12-22
[10] 웹사이트 Ruins palace Empe00Adam Text http://digicoll.libr[...]
[11] 웹사이트 Diocletian's Palace http://www.megalithi[...] 2007-10-06
[12] 서적 Voyage pittoresque et historique de l'Istrie et de la Dalmatie rédigé d'après l'Itinéraire de L. F. Cassas par Joseph Lavallée Paris
[13] 웹사이트 Diocletian's Palace http://w3.mrki.info/[...] 2022-02-17
[14] 웹사이트 Features of Kuna Banknotes http://www.hnb.hr/no[...] 2022-02-17
[15] 웹사이트 500 kuna http://www.hnb.hr/no[...] 2022-02-17
[16] 서적 The Late Roman Army
[17] 웹사이트 Zlatna vrata u Splitu https://www.putovnic[...] 2022-02-17
[18] 웹사이트 Split.hr | Srebrna vrata http://www.split.hr/[...] 2019-06-28
[19] 서적 Villa of the Diocletian in Split
[20] 웹사이트 Srebrna vrata u Splitu | Vodiči na Putovnica.net https://www.putovnic[...] 2019-06-28
[21] 웹사이트 Split – the Iron Gate https://visitsplit.c[...]
[22] 서적 Spomenici Splita i okolice
[23] 웹사이트 Ministarstvo kulture Republike Hrvatske – KULTURNA BAŠTINA – Registar kulturnih dobara https://www.min-kult[...] 2019-07-02
[24] 웹사이트 Split – Vestibule https://visitsplit.c[...] 2022-02-17
[25] 웹사이트 Vestibule | Split, Croatia Attractions https://www.lonelypl[...]
[26] 웹사이트 Diocletian's palace basement, Split https://www.absolute[...]
[27] 웹사이트 Split – The Substructures https://visitsplit.c[...]
[28] 웹사이트 Day 72: Filming in Diocletian's Palace & Žrnovnica http://winteriscomin[...] 2013-09-27
[29] 웹사이트 Let's Split: The Amazing Race Discovers Croatia in Season 31 (VIDEO) https://www.total-cr[...] 2019-06-13
[30] 웹사이트 Jackson's 'The Amazing Race' YouTube stars Tyler Oakley, Korey Kuhl take the lead https://www.mlive.co[...] 2019-06-13
[31] 웹사이트 Diocletian's Palace http://www.megalithi[...] 2007-10-06
[32] 서적 世界地名ルーツ事典 創拓社
[33] 서적 Diocletian's Palace, Split : Residence of a Retired Roman Empe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